장기 비상시대

석유는 3억 년 전부터 3000만 년 전 사이에 지구 온난화로 오랫동안 조건이 좋았던 때 호수와 바다의 얕은 유역에서 번생했던 조류가 오랫동안 쌓여 끈적끈적해진 것을 케로겐(油母)이라 하는데, 이것이 수중에 퇴적되어 있다가 지각운동에 의해 깊은 땅속 (7500 ~ 15000피트) 사이에 묻혔을때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것이라 합니다.  이보다 더 깊은 곳에서는 압력이 너무 높고 온도도 올라가서 모든 탄화수소 분자가 분해되어 메탄가스로 변하여 암석층 사이로 빠져나가 버리고 말기때문에 이 깊이(7500~15000피트) 사이를 '석유 창'(oil window)이라 부르며 이 창 밖에서는 석유가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석유는 무게 및 부피에 비해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함유하고있고 운반하기도 쉬우며 일반 기온에서 가압하지 않은 금속 탱크에 쉽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상태로 변잘되지 않고 무한정 오래 보관할 수도 있고 간단한 증류만으로 여러 등급의 연료나 수많은 유용한 생산품(플라스틱, 페인트, 의약품, 섬유, 윤활유 등등)을 만들어 낼 수 있으니 정말 놀라운 물질입니다.

그러나 화석연료는 지질사의 독특한 선물로서, 그 덕분에 인류는 지구상에서 거주 공간의 소용 능력을 인위적이고 일시적으로 늘릴 수 있었던 것이죠. 산업화된 나라에서 사는사람 한 명에게 100명의 노예를 마음대로 부리는 것과 같은 능력을 제공했으며 상당기간 이런 시기가 지속되어 화석 연료 없는 삶은 상상조차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러 있습니다.

무한정 계속 될 것 같았던 석유가 곧 고갈될것이며 (아니면 이미 시작되었다는) 석유가 없는 세계는 과연 어떻게 될것인가? 바로 그 답은 "장기 비상시대"라는 것이 이책의 주장입니다. 우리는 대부분 석유라는 달콤하기 그지없는 마약에 취해있기 때문에 절대로 그런 일이 생겨서도 안되며 생기더라도 분명 과학자들이 그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제 주위에 있는 사람중 그나마 환경을 생각하는 분께(저보다 10년위) 이 문제를 말씀드렸더니 그 대답은 .... "핵융합"만 성공하면 모든것이 해결될것이라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석유라는 유한한 자원이 지속될거라고 믿는 이 황당한 믿음은 인지부조화, 몽유병자 처럼 절벽으로 걸어가고 있는 문명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마빈 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에 나오는 뉴기니 원주민들의 '화물 숭배'와 다를것이 무어냐고 반문합니다. (화물숭배 - 백인들이 큰 배에서 엄청난 화물을 자유롭게 이용하는 걸 본 원주민들이 조상들이 큰 배에 화물을 가지고 와서 자신들에게 나누어 줄 것이라고 믿는 종교행위)

"석유생산 정점"이란 지구상에 묻혀있는 모든 석유의 절반을 뽑아낸 시점을 말하는데 여기서 착각하는 게 반을 썼어도 아직 반이 남아있으니 괜찮은거 아니냐고 생각하면 안된다는 겁니다. 이제 남아있는 반은 접근성과 경제성이 떨어져 거의 추출할수 없는 석유라는 데 있습니다. 석유생산 정점을 넘어섰다는 것은 곧 석유가 고갈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지금처럼 화수분처럼 펑펑 석유를 쓰는 일은 앞으로 영원히 없을 거라는 것입니다.

최근 지구인구가 70억을 넘었다고 하는 데 200년전 석유가 이용되기 직전의 인구는 10억. 그러니까 석유때문에 지구는 60억의 인구를 더 부양하고 있었으며 조만간 석유로 짓는 농사가 막을 내리기 시작할때 60억의 잉여인구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최근 경제가 불확실해졌을때 모두다 안전자산을 찾아 헤메다 누구는 '금'에 누구는 채권에, 달러에 돈을 투자하는 모습을 보면서 과연 '장기 비상시대'에는 안전자산은 무엇일까요? 우리의 사회, 식량, 정치, 교육, 종교는 어떤 영향을 줄지 참으로 궁금하기도 하고 두렵기도 합니다.


About this entry


갈비탕 따라하기

고기 좋아하던 사람이 요산수치도 올라가고 구제역으로 가축들 떼죽음시키는 거 보다가 공장식 축산을 반대하는 의미에서 채식주의를 선언한 후 덩달아 식구들도 고기소모량이 급속하게 줄었습니다. 지난 8개월간 고기집에 가서 외식을 하지 않았고 고기만 사서 구워먹은 적도 없으니까요. 저 없는 틈에 몰래 구워먹었을지도 모르지게만요.^^  과연 한명이라도 입을 줄이면 정말 많은 효과가 있다는 건 분명합니다.

최근 알게된 '쿠킹하는 사회주의자'님의 블로그에 갈비탕 레시피가 올라왔습니다. (http://blog.naver.com/frankbyon/120144531772)  그동안 이태리음식만 배웠지 달걀말이 말고는 배운게 없었는데 그래도 요리 공부한 공력이 있어선지 레시피를 보니 별로 어렵지 않아보이는 겁니다. 몇달만에 간이 배밖으로 나온거죠.^^

저때문에 본의아니게 채식하는 식구들한테 슬쩍 물어보니 다들 먹고 싶어 하길래 혼자서 덜컥 장을 봤습니다. 김여사가 감시를 안하는 틈을 타서 무려 갈비 2kg(호주산)에 양지머리 2kg .... 고기값만 8만원.

일단 레시피에 나온대로 찬물에 고기를 담가서 핏물을 뺐습니다. 2시간에 걸쳐서 여러번 물을 갈아줬습니다.






다음은 국물 재료 준비 - 조선간장 3큰술, 다시마 2장, 말린 표고버섯, 배추속, 대파, 김장하고 남은 무, 통마늘 다수 - 집에서 제일 큰 그릇에 넣고 끓이기 시작했습니다. (나중에 평가를 해보니 조선간장의 맛이 아주 중요합니다.)



국물이 끓기 시작해서 고기를 넣고 있습니다. 근데 넣다보니 그릇이 너무 작아서 두개로 나눠서 끓이는 소동이 있었습니다. 제가 손이 너무 큰가 봅니다.



20분간은 제일 센불에 끓이고 그동안 계속 거품을 걷어냈습니다.






잠시 틈나는 시간에 파를 썰고 - 처음 칼질하는 재관이.



국물이 끓기 시작한지 한시간이 지나면 야채를 건져냅니다. 너무 늦게 건져내면 야채가 부서져서 국물이 깔끔하게 되지 않더군요. 마늘은 깨지고 배추는 다 풀어져 섞이구요.


중간중간 소금으로 살짝살짝 간을 했습니다. 나중에 소금을 전혀 넣지 않고 먹을 만큼 간이 되었습니다. 간할때 쓴 소금은 김여사 몰래 산 '소금 꽃' 어쩌구 하는 프랑스 소금으로.

그동안 계란 지단을 만들기 위해서 비장의 무기를 꺼냈습니다. 실력자들는 계란 껍데기 가지고 흰자,노른자를 잘 분리하시지만 저는 초보이므로...




맨위는 깔대기, 노란거는 레몬즙짜개, 치즈갈이, 등등에 맨 아래는 계량컵입니다. 중간에 'egg separator'라는 거창한 이름...^^



계란 4개를 흰자,노른자를 분리하고 살짝 달군 팬에 식용유를 살짝 바르고 키친타올로 닦아 냅니다.(이게 바로 포인트!) 계란을 팬에 붇고 살살 돌리면서 아주 얇게 지단을 부쳐냅니다. 조금만 요령이 생기면 쉽게 되는데 제 특기가 종이장같은 지단 만들기^^

노른자가 흰자보다 쉽습니다. 흰자 지단은 너무 농도 묽어서 어려우니까 녹말가루를 넣어 농도를 맞추면 쉽다고 합니다. 저는 녹말가루가 없어서 그냥.









국물재료로 넣은 표고버섯도 건져내서 썰고 팬에 살짝 볶고 후추, 소금으로 간합니다.




양지머리는 너무 삶으면 퍽퍽해지니까 갈비보다 먼저 건져서 썰어놓습니다.




1시간 30분쯤에 갈비를 꺼내서 잘 익었나 확인후 (뼈에서 갈비가 잘 떨어지면 완성) 고명을 얹어서 식사.




다들 처음 한거치고는 상당히 맛나다고 하는데 우리집 미식가 작은 아이가 (고기파가 아니라 국물파라고 주장) 국물에서 끝맛에 미묘하게 신맛이 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간장이 범인 일거 같아 제가 사용한 조선간장 맛을 보니 간장 선택에 약간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간장 세숟갈이 굉장이 중요하다는 거.

다음에는 쇠꼬리로 끓여 달라고 하는데 이거 채식주의자한테 너무 하는 거 아닙니까?^^  이러다가 다시 개종할거 같아 당분간은 고기를 쳐다보지도 말아야하겠습니다. 하지만 만들어보면 역시 고기요리가 야채 요리보다 훨씬 손도 덜가고 생색도 많이 낼수 있군요.




About this entry


수능 D day

수능 100일전 뭐 할일이 있을까 해서 심심풀이로 '아빠의 백일 아침밥 프로젝트'라는 거창한 제목으로 아침밥해주기 시작했습니다.

해보니 새벽에 일어나 (5시 30분에 일어나 준비해서 6시 15분에 손석희 시작할때 식사 시작입니다) 아침준비해보니 생각보다 너무 힘들어서 백일이 언제가나 했는데 벌써 휘딱 지나갔습니다.


백일동안 알리오 올리오를 먹으면...

아이들은 이태리 사람이 될거고
곰 한분은 사람이 될거고^^
저는 주부가 될거라고 ...

웃으면서 시작한 일이었는데,

다른 건 몰라도 상당히 맛나는 알리오 올리오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답니다.

아침부터 요리하고 싶은 핑계로 시작했으니 쭉 아빠의 아침밥은 계속될겁니다.

안팎으로 성원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고 내 몸의 일부를 받아 자란 자식이 이 만큼 컷다는 것이 왠지모르게 뿌듯합니다.




About this entry



<< Previous : [1]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 [103] : Next >>

Calendar

<<   2025/08   >>
S M T W T F 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