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식사
1990년대 중반의 어느 날, 만취한 여자 하나 밤거리에서 비틀대고 있었다. 몸 가누지 못하고 기어이 쓰러져 머리가 깨졌다. 길바닥에 드러누워 피 흘리던 그녀, 헤실헤실 웃으면서 말한다. "아아 상쾌해."(헤모글로빈, 알코올, 머리칼 - 내혀가 입 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 창비시선) 1980년대는 "격렬한 외상의 날들"이었으나 1990년대는 "우울한 내상의 날들"이었다. 한 시절은 속절없이 저물고 함께 꾸던 꿈은 가뭇없이 사라졌다. 이제는 몸 상할 일 없어 좋겠구나 했는데 꿈없는 세상이 끔찍해 마음은 속에서 곪아갔다. 그러니 아시겠는가, 무엇이 그녀를 쓰려뜨렸는지. 취중 난동은 자해 공갈이었다. 그녀의 이름은 김선우. 1970년에 태어나 1996년에 시인이 되었다.
(신형철산문집 느낌의 공동체에서 발췌)
이런 시인이 있답니다. 두피에는 혈관이 풍부해서 다치면 무척 피가 심하게 나는데 같이 술마시면 주사때문에 걱정스럽긴 하겠네요.^^ 책날개에 있는 사진을 보니 심지어 이쁘기까지 합니다. 요즈음 요리를 한답시고 이것저것 뒤적이며 지내고 있는데 그녀의 시집을 읽다가 이 시가 눈에 밟히네요.
깨끗한 식사
어떤 이는 눈망울 있는 것들 차마 먹을 수 없어 채식주의자 되었다는데 내 접시 위의 풀들 깊고 말간 천 개의 눈망울로 빤히 나를 쳐다보기 일쑤, 이 고요한 사냥감들에도 핏물 자박거리고 꿈틀거리며 욕망하던 뒤안 있으니 내 앉은 접시나 그들 앉은 접시나 매일반. 천년 전이나 만년 전이나 생식을 할 때나 화식을 할 때나 육시이나 채식이나 매일반
문제는 내가 떨림을 잃어간다는 것인데, 일테면 만년 전의 내 할아버지가 알락꼬리암사슴의 목을 돌도끼로 내려치기 전, 두렵고 고마운 마음으로 올리던 기도가 지금 내게 없고 (시장에도 없고) 내 할머니들이 돌칼로 어린 죽순 밑둥을 끊어내는 순간, 고맙고 미안해하던 마음의 떨림이 없고 (상품과 화폐만 있고) 사뭇 괴로운 포즈만 남았다는 것.
내 몸에 무언가 공급하기 위해 나 아닌 것의 숨을 끊을 때 머리 가죽부터 한 터럭 뿌리까지 남김없이 고맙게, 두렵게 잡숫는 법을 잃었으니 이제 참으로 두려운 것은 내 올라앉은 육중한 접시가 언제쯤 깨끗하게 비워질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것. 도대체 이 무거운, 토막 난 못을 끌고 어디까지!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신가, 문지)
Trackback :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