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tle Miss Sunshine




Little Miss Sunshine 2006

감독
조나단 데이튼 Jonathan Dayton
발레리 패리스 Valerie Faris

주연
애비게일 브레슬린....올리브
Abigail Breslin....Olive
그렉 키니어....리처드
Greg Kinnear....Richard
폴 데이노....드웨인
Paul Dano....Dwayne
앨런 아킨....에드윈
Alan Arkin....Edwin
토니 콜레트....셰릴
Toni Collette....Sheryl
스티브 카렐....프랭크
Steve Carell....Frank


배불뚜기 꼬마 아가씨 올리브  - 얼굴은 귀엽지만 배는 장난이 아닙니다. 처음에는 배에다 뭘 넣은 줄 알았다니까요^^  하지만 또래 아이들을 보면 대개 그런 체형이 정상입니다.

실패만 하는 성공학 강사 리처드 - 아빠로서 경제적으로 무능하지만 입에서 나오는 말은 모두 '승자'가 되는 법. 말하는 게 얄밉지만 나중에는 제일 측은해 집니다 .

침묵서원중인 드웨인 - 멋진 니체 그림을 붙여놓은 나름 귀여운 중딩. 처음에는 정말 특이한 얼굴에 독특한 헤어스타일(이 아이만 검은머리일까?) 이라고 생각했으나 그나마 제일 열심히 삽니다. 사춘기 아들을 둘이나 보유중이므로 제일 관심이 많이 가는 등장인물.

불량 할아버지 에드윈 - 천국같은 요양원에서 마약을 하다 쫓겨나는 결코 철안드는 사람. 며느리한테도 막말로 나무라는 철면피에 포르노 애호가.  대단한 사고만 치지만 결국 최고의 선물(?)을 남기고 갑니다.

맨날 치킨으로 때우는 대충 엄마 셰릴 - 사고뭉치 식구들한테 그래도 제일 헌신적입니다.

자살기도 삼촌 프랭크 - 미국에서 제일 가는 프루스트 전문가를 자처하나 달리는 폼이 제일 웃기지요. 나름 제일 똑똑한 지식인. 프랑스어에 대해 좀 자랑하려하면 매몰차게 매형은 '닥쳐! 프랭크!" 합니다.


이 영화는 이렇게 등장인물만 소개하고 끝내야 되겠습니다. 처음에는 키득거리다가 마지막에는 배를 안고 바닥에 구를 정도로 웃게만들지만 마음이 따뜻해지는 사랑스런 영화니까요.

저도 약쟁이 할아버지를 본받아 환갑을 기념해서 파이프를 다시 피우기로 결심했읍니다. 젊은 나이에 담배를 피우는 건 미친짓이지만 나이들어서야 뭐 어떻습니까? ㅋㅋ


About this entry


사이에서





무슨 영화를 볼까 김포 메가라인을 뒤져보니 볼만한게 없다고 해서 이것저것 뒤지는데 문득 며칠전 신문 기사 하나가 생각났다. 다큐멘터리 채널인 큐채널에서 PD로 일했던 이창재감독이 무당 다큐를 찍었는데 어찌어찌 운이 좋아서 개봉하게 되었다. 뭐 이런 내용이었는데 상암 CGV 인디영화관에서 상영중.

"사이에서"는 같은 무당을 소재로 찍은 다큐지만 2004년 1월에 하이퍼텍나다에서 봤던 '영매'하고는 확연히 달랐다. 일단 영매는 무속 전반에 대한 탐구라고 할수 있겠는데 세속무와 강신무가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기도 하고 동해안굿, 서해안굿 등 여러가지 무속의 내용을 보여주는 데 치중했다고 할 수 있겠다.

<사이에서>는 무당 이해경을 집요하게 파고들어 그네들의 애환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해경을 중심으로 내림굿을 받으려는 스물여덟살 황인희, 귀신이 보이는 8살 김동빈, 30년간 무병을 앓다가 골수암 3기 진단을 받은 손명희의 이야기가 서로 물리며 이어진다. 디지탈 영화의 발전에 힘입어 인디 다큐임에도 화질이 놀랍도록 뛰어나고  생생해서 오히려 다큐 같지 않다는 느낌이 들었을 정도였다.

감독의 역량인지 출연자의 능력인지 모르겠지만 여느 극영화만큼이나 자연스러워서 편집을 조금만 바꾸고 극영화라고 우겨도 전혀 이상한 구석이 없을 거 같다.

그네들의 신산함 삶에 대해서 무어라 말할게 없지만 자신의 인생과 영혼을 신명에 내맡기고 인간과 신 '사이에서' 살아가는 그들이 너무나 안쓰러웠다. 자신의 욕망에 이끌려 나름 자신의 의지라고 믿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고 한편에는 전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끌려가며 살아야하는 이들...

신과 인간, 이승과 저승, 현실과 비현실 사이를 넘나들며 살아가는 이네들이 최소 오천년간 우리의 삶과 생각이 바뀌고 의식구조가 바뀌는 와중에도 우리 곁에 꿋꿋하게 남아있다는 사실....

그래도 그들이 불쌍하지만은 않았던 것은 장구와 징을 치는 풍물잽이 아저씨와 할머니 얼굴에서 온 몸을 뒤흔드는 신명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스물여덟살 처녀 황인희가 내림굿을 받을 때 나오는 무속가 대목에서 이해경의 선창으로 노래를 굿판의 무당들이 따라 부르며 서러운 자기 처지에 복받치는 눈물을 줄줄 흘립니다.

"사바 세계에/불리워 갈제/날따라 오너라/머얼고도/험하고도/거치른/길이로다/가다보면/넘어진다/넘어져도/다시 일어나라.

(중략)

"신도/싫고/인간도/싫다/멀리멀리/떠나고만 싶다"

그 소리에 너나없이 눈물 자락을 훔칠 때, 이해경은 눈물을 옷고름에 닦더니,

"초상났느냐. 굿하자!"

하며 굿판을 다시 벌입니다. 이 굿판은 아마도 무당들 자신을 위한 굿판이었을 겁니다.

















About this entry


연애의 목적



처음에는 낄낄대고 보다가... 좀 심한데... 이게 완전 스토커네?.... 으이구 미친놈! ㅠ.ㅠ (그래도 난 저정도는 아니다...^^)

와이프는 점점 더 분개하더니... 아니! 저 교생은 왜 저렇게 뜨뜻 미지근하지? 아이구 분해라... 나! 도저히 못 보겠다! 혼자서 봐!...

이러다 차차 맘이 불편해지는 이유를 알았습니다. 아마도 저는 뭔가가 계속 찔렸을 것이고...ㅠ.ㅠ 김남희는 과거에 누군가에게 당한 일이 떠올라서...^^ (그 왠수하고 같이 살게 될 줄이야....)

관객을 불편하게 하는 영화에 점수를 많이 주는 편이라...(달콤함만 있는 영화는 불량식품 같아요.) 제가 보기엔 잘 만들어진 영화더군요. 특히 일반적인 직장이 아니라 고등학교라는 배경의 묘사도 아주 징그러울 정도로 좋았고 박해일의 최양락 닮은 연기도 감칠맛나고(수염을 제대로 안깎은게 절묘했어요) 강혜정의 어리버리 교생도 실감 나더군요.

영화를 보다보니 얼마전에 읽은 '동정없는 세상'도 떠올랐습니다. 에구~~ 그저 수컷들이란....^^


한줄 요약 : 처음에는 오로지 섹스였으나.... 결국엔 사랑이 싹트더라.


About this entry



<< Previous : [1] : .. [2] : [3] : [4] : [5] : [6] : Next >>

Calendar

<<   2025/08   >>
S M T W T F 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