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숙성 홍어회




지난주에 재관이하고 수산시장 구경했습니다. 언제와도 정말 대단한 에너지가 넘치는 곳입니다. 장사하시는 분들의 노고가 참으로 버겁기도 하구요. 생선들의 신선도를 위해 이분들은 추울수밖에 없겠지요.




구경다니다가 홍어파는 집을 지나치지 못하고 생홍어를 한마리 샀습니다. 3만원짜리로. 생선을 손질하고 있는 청년은 주인 아주머니의 아들이랍니다.

어머니일 도와주니 착하다고 했더니 직장그만두고 나서서 월급 300만원 주고 있다고 귀속말로 말해주시네요.^^  껍질 벗기고 내장 꺼내고 크게 토막쳐서 종이로 둘둘 말아서 주는 데 배란다 구석에 던져 놓으면 알아서 삭혀진다고 하는데 과연 그렇게 될런지....




요리한답시고 사시미칼을 샀는데 써먹을 기회가 없다가 드디어 개시를 했습니다. 생선 사올때 썰지말고 덩어리째 달라고 해서 와서 썰어먹으니 훨씬 좋네요.





생와사비도 구해서 강판에 갈고





방어, 돔, 광어 되겠습니다.








베란다 구석에 있다가 나흘이 지나니 슬슬 냄새가 진동하기 시작해서 어제 저녁에 개봉했습니다. 문제는 식구중에 먹을 수 있는 사람이 저밖에 없다는 거....^^

물이 나와서 종이를 적셨습니다. 냄새는 물론 작렬!!!




몸통부위, 냄새가 보이죠?





지느러미 부위






썰어보니 홍어는 단단한 연골부위가 있어서 회칼보다는 좀 더 무거운 칼로 써는 게 잘 썰어집니다.





색깔 예술이죠? 냄새보다는 많이 삭질 않아서 잘 못먹는 사람도 부담없이 먹을 수 있겠습니다. 남은 홍어는 더 삭혀서 먹어봐야겠네요.







 

보쌈까지 더했으나 묵은지가 빠져서 대충 삼합^^

직접 삭혀보니 홍어는 정말 신기한 생선입니다. 막 굴려서 상할 걱정이 없는....

다음에는 항아리에다가 짚을 깔아서 제대로 삭혀보고 싶습니다.



About this entry


갈비탕 따라하기

고기 좋아하던 사람이 요산수치도 올라가고 구제역으로 가축들 떼죽음시키는 거 보다가 공장식 축산을 반대하는 의미에서 채식주의를 선언한 후 덩달아 식구들도 고기소모량이 급속하게 줄었습니다. 지난 8개월간 고기집에 가서 외식을 하지 않았고 고기만 사서 구워먹은 적도 없으니까요. 저 없는 틈에 몰래 구워먹었을지도 모르지게만요.^^  과연 한명이라도 입을 줄이면 정말 많은 효과가 있다는 건 분명합니다.

최근 알게된 '쿠킹하는 사회주의자'님의 블로그에 갈비탕 레시피가 올라왔습니다. (http://blog.naver.com/frankbyon/120144531772)  그동안 이태리음식만 배웠지 달걀말이 말고는 배운게 없었는데 그래도 요리 공부한 공력이 있어선지 레시피를 보니 별로 어렵지 않아보이는 겁니다. 몇달만에 간이 배밖으로 나온거죠.^^

저때문에 본의아니게 채식하는 식구들한테 슬쩍 물어보니 다들 먹고 싶어 하길래 혼자서 덜컥 장을 봤습니다. 김여사가 감시를 안하는 틈을 타서 무려 갈비 2kg(호주산)에 양지머리 2kg .... 고기값만 8만원.

일단 레시피에 나온대로 찬물에 고기를 담가서 핏물을 뺐습니다. 2시간에 걸쳐서 여러번 물을 갈아줬습니다.






다음은 국물 재료 준비 - 조선간장 3큰술, 다시마 2장, 말린 표고버섯, 배추속, 대파, 김장하고 남은 무, 통마늘 다수 - 집에서 제일 큰 그릇에 넣고 끓이기 시작했습니다. (나중에 평가를 해보니 조선간장의 맛이 아주 중요합니다.)



국물이 끓기 시작해서 고기를 넣고 있습니다. 근데 넣다보니 그릇이 너무 작아서 두개로 나눠서 끓이는 소동이 있었습니다. 제가 손이 너무 큰가 봅니다.



20분간은 제일 센불에 끓이고 그동안 계속 거품을 걷어냈습니다.






잠시 틈나는 시간에 파를 썰고 - 처음 칼질하는 재관이.



국물이 끓기 시작한지 한시간이 지나면 야채를 건져냅니다. 너무 늦게 건져내면 야채가 부서져서 국물이 깔끔하게 되지 않더군요. 마늘은 깨지고 배추는 다 풀어져 섞이구요.


중간중간 소금으로 살짝살짝 간을 했습니다. 나중에 소금을 전혀 넣지 않고 먹을 만큼 간이 되었습니다. 간할때 쓴 소금은 김여사 몰래 산 '소금 꽃' 어쩌구 하는 프랑스 소금으로.

그동안 계란 지단을 만들기 위해서 비장의 무기를 꺼냈습니다. 실력자들는 계란 껍데기 가지고 흰자,노른자를 잘 분리하시지만 저는 초보이므로...




맨위는 깔대기, 노란거는 레몬즙짜개, 치즈갈이, 등등에 맨 아래는 계량컵입니다. 중간에 'egg separator'라는 거창한 이름...^^



계란 4개를 흰자,노른자를 분리하고 살짝 달군 팬에 식용유를 살짝 바르고 키친타올로 닦아 냅니다.(이게 바로 포인트!) 계란을 팬에 붇고 살살 돌리면서 아주 얇게 지단을 부쳐냅니다. 조금만 요령이 생기면 쉽게 되는데 제 특기가 종이장같은 지단 만들기^^

노른자가 흰자보다 쉽습니다. 흰자 지단은 너무 농도 묽어서 어려우니까 녹말가루를 넣어 농도를 맞추면 쉽다고 합니다. 저는 녹말가루가 없어서 그냥.









국물재료로 넣은 표고버섯도 건져내서 썰고 팬에 살짝 볶고 후추, 소금으로 간합니다.




양지머리는 너무 삶으면 퍽퍽해지니까 갈비보다 먼저 건져서 썰어놓습니다.




1시간 30분쯤에 갈비를 꺼내서 잘 익었나 확인후 (뼈에서 갈비가 잘 떨어지면 완성) 고명을 얹어서 식사.




다들 처음 한거치고는 상당히 맛나다고 하는데 우리집 미식가 작은 아이가 (고기파가 아니라 국물파라고 주장) 국물에서 끝맛에 미묘하게 신맛이 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간장이 범인 일거 같아 제가 사용한 조선간장 맛을 보니 간장 선택에 약간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간장 세숟갈이 굉장이 중요하다는 거.

다음에는 쇠꼬리로 끓여 달라고 하는데 이거 채식주의자한테 너무 하는 거 아닙니까?^^  이러다가 다시 개종할거 같아 당분간은 고기를 쳐다보지도 말아야하겠습니다. 하지만 만들어보면 역시 고기요리가 야채 요리보다 훨씬 손도 덜가고 생색도 많이 낼수 있군요.




About this entry


파르미자나 디 메란자네 에 파타떼 (Parmigiana di melanzane e patate)

#재료


가지 2개  감자 2개 350g

모짜렐라 치즈 170g


베사멜소스 : 밀가루 20g,  버터 20g   우유 1/31C   넛맥   소금,흰후추


라구 디 메레 : 양파 50g  사과 1/4개   쇠고기 다짐육 100g   레드와인 1/4C   홀토마토 100g   토마토페이스트 1T

마늘 1개   육수 1C   오레가노 1/4t


#만드는 법


1. 가지는 1cm 두께로 어슷썰어 소금에 살짝 절여 놓았다가 물기제거

2. 감자는 0.5cm 두께로 원형으로 썬다

3. 식용유에 감자, 가지를 튀긴다

4. 라구 디 메레소스 : 올리브오일 + 다진 마늘, 양파, 사과 + 쇠고기 + 레드와인 + 토마토페이스트 + 홀토마토  +  육수  +소금, 후추, 오레가노

5. 베사멜소스 : 소스 팬에 버터를 녹이고 밀가루 넣고 볶다가 뜨거운 우유를 조금씩 넣으면서 저어주면서 끓인후 넛맥, 소금, 흰후추로 간한다

6. 오븐용 용기에 버터를 바르고 베사멜 소스 - 감자 - 라구소스 - 모짜렐라 치즈 - 가지 - 라구소스 - 베사멜소스 - 모짜롤라 치즈 얹어 210도 오븐에 20분간 굽니다. 파슬리를 뿌린다.



야채를 닦고 썰고 가지는 소금뿌려 절구다가 소금 제거하고 꼭 짜서 물기 제거하고....  요리 강습때는 이거 다 해주고 튀겨까지 줍니다. 이러니 집에서 해본다고 대들었다가....^^




레시피에는 튀기는 걸로 되어 있지만 제 요리에는 튀김은 없기 때문에 올리브유에 구었습니다.


감자는 버터를 녹이고 노릇하게 구워주고


라구 소스


베사멜 소스 : 버터를 녹이고 밀가루(박력분)를 넣고 거품기로 저어줍니다. 데운 우유를 조금씩 넣어면서 (덩어리가 안생기게) 저어줍니다.



오븐 용기에 차곡차곡 쌓아주고





오븐에 넣어서 20분간 굽는다.



파르미자나 - from parma (이태리 북부에서 유래된)

메란자네 - 가지

파타떼 - 감자


이태리 남부와 시실리의 요리로 라자냐하고 거의 같네요. 두가지 소스를 만들어 기본이 되는 재료에 번갈아 바르고 모짜렐라 치즈를 뿌려 오븐에 굽는 요리인데 손이 많이가는 요리라서 마음먹기가 힘드네요. 이번 주말에도 대들었다가 너무 힘이들어 공황상태에 빠지기도 했어요. ㅎㅎ


About this entry



<< Previous : [1] : [2] : [3] : [4] : [5] : [6] : .. [9] : Next >>

Calendar

<<   2025/08   >>
S M T W T F 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