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 힐 클라임 대회 참가기

1년전 자출을 시작하면서 농담 비슷하게 대관령 업힐 대회라는 게 있던데(모임에 나갔더니 업힐대회 져지를 입고 계신 분이 있어서 알았습니다) 한번 나가볼까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설마 진짜로 나갈수 있을 정도로 체력이 좋아질까 의심스러웠기에 확신은 없었는데 자전거를 MTB에서 로드바이크로 바꾸고 슬슬 체력 안배가 되니 욕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급기야는 5월에 파워미터까지 장만해서 젖산역치 테스트도하고 인터벌 훈련도 하면서 나름 준비를 했는데 좀 더 체계적으로(훈련주기화라고 하더군요) 훈련을 했으면 더 좋았겠지만 기초적인 유산소 지구력등등의 훈련없이 벼락치기로는 한계가 많았습니다. 게다가 심리적인 요인까지 겹쳐져서...

하여간 가족과 함께 토요일 강릉 경포대 근처에 있는 숙소로 향했습니다. 클럽 식구들과 인사를 하고 11시쯤 잠자리에 들었는데 당연히 시험 전날이니 푹 자지는 못했지만 그런대로 아침 몸상태는 좋았습니다. 아침을 먹고 선수 집결 장소인 강릉시청까지 자전거를 타고 가면서 몸을 풀기로 하였습니다.
놀라운 스탠딩^^

강릉시청 : 1시간 가량 식전 행사를 했는데 장소에 비해 참가자가 너무 많아서 통제가 힘들었습니다.

행사를 마치고 출발장소인 영동전문대앞까지 천천히 이동했는데 이미 엄청난 폭염이 시작되었습니다. 출발을 기다리다가 펑크가 난 분도 계셨습니다. 계획은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출발하게 되어 있지만 좁은 길에 늘어서 있다보니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대충 차례가 되어 출발을 해서 초반 평지를 달리는데 좀 잘타는 사람 뒤에 붙어서 체력 안배를 해보려고 했는데 나중에 파워데이터를 보니 너무 오버페이스했습니다. 경험이 없으니 흥분을 하는 바람에... 초반에 선두그룹에 붙어서 빨리 가는데 유리하다고 들었는데 다음에는 그런거 신경쓰지 말고 목표 파워를 너무 많이 넘지 않는 범위에서 달려야 하겠습니다.

일단 업힐을 시작하고 나니 별로 생각 나는게 없습니다.^^  물론 많이 생각이 들기는 했지만 간단하게 줄일수 있습니다.(힘들다, 숨차다, 에구 죽겠네, 우씨! 또 추월당하네..... )   초반에 도싸져지 입으신 분이 꽹과리를 치면서 '힘내라'를 외치고 계셨는데 힘내서 기록 10분 단축하라고 하는거 같았습니다.^^

중간에 물을 먹을 수 있는 곳이 세군데가 있는데 근처에 가면 참가자들이 '물' '물~~~~' '물~~좀 주세요'  '물 좀 주소~~~~'를 외치는 소리가 메아리 칩니다. 미지근하다못해 뜨끈뜨끈한 물통 물만 먹다가 보급소를 만나면 아주 반갑더군요.

지난 여름 휴가에 답사차 올라갔을 때에는 오후라 그늘도 있었고 살짝 비도 뿌려주고 했는데 대회날은 정말 엄청난 폭염이었습니다. 올라가면서 사고가 나지 않을까 걱정이 될 정도였습니다. 20분쯤 지나자 슬슬 끌바를 하는 분도 생기기 시작하고 아예 자전거를 세워두고 쉬는 분들도 눈에 띄기 시작했습니다. 급기야는 다리에 쥐가 났는지 길가에 벌러덩 누워계시는 분도 계셨는데 어떤 분이 도와주고 계시더군요. 스쿠터 타고 다니시는 분이 계셨는데 자원봉사자인지는 모르겠지만 별로 도움은 안되더군요. 혹시나 사고가 생기면 맨 아래에서 구급차가 올라와서 대처하기는 쉬운 일은 아닌거 같았습니다. 최소한 보급처 세곳에는 구급차가 있어야하지 않을까합니다.

아무생각없이 계속 오르다 보니 대관령 정상 표지석이 보이더군요. 클럽분들이 얼마 안남았다고 응원을 해주시는데 완전히 찡그린 얼굴을 하고 있다가 사진을 찍길래 겨우 표정관리했습니다.^^

정상 근처에서 응원하기로 했던 와이프하고 아이들이 보이는데 막판 스퍼트를 하느라 포즈를 취해주지 못했습니다. 갑자기 나타난 저를 보고 깜짝 놀라서 뒷통수만 찍었답니다.^^
정상에는 벌써 들어온 선수들이 보입니다. 왼쪽 아래에 두명이 유명한 MTB 국가대표죠.

정상에 도착해서 기록칩 반납하고 물한통, 바나나1개 받고 온가족 동원해서 마사지 받았더니 좀 정신이 돌아오더군요.^^

올라가면서 계속 추월당하는 게 괴롭더군요.

'우씨! MTB한테 추월이네'
'헉! 풀샥한테 지다니'
'파란색한테 추월당하면 안되는데'(등번호를 보면 나이별로 색깔이 다릅니다. 파란색은 같은 그룹)
'아싸! 녹색 하나 추월했다' (녹색은 30대 그룹)
'앞에 싸이클 하나추월하고'.....
'우씨! 바로 추월 당하고...ㅠ.ㅠ'

막판에 20미터쯤 남겨두고 맹렬하게 댄싱하면서 다섯명쯤 추월했는데 그중에 두명이 저하고 같은 그룹이었습니다.

그 덕분에 아슬아슬하게 29등!


About this entry


출사표!

(사진 : 분도 제공)

강릉 영동전문대에서 대관령 정상까지 18km를 달리는 대관령업힐대회가 이틀뒤로 다가왔습니다.

그동안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해 오다가... 점심시간에 밥도 안먹고 점방 근처 언덕으로 달려가서 언덕을 안쉬고 오르락 내리는 강훈!, 출퇴근 하면서 왠만한 언덕에서 안쉬고 계속 달리기!, 휴가때도 자전거 싣고 가서 대회코스 사전답사 등등 미리 준비한다고 했지만 몸으로 하는 일은 벼락치기에도 한계가 있는 거 같습니다.^^ (자전거 경력이 1년 남짓이니 너무 큰 욕심 내지 말아야지요.)

대회에 대비해서 자전거 바퀴도 업힐에 유리한 걸로 바꾸고 체중도 줄이고 하려고 했는데 체중은 4kg 감량으로 목표치에 50%에 불과하고 자전거도 자출족 답게 평소 출퇴근하던거 그대로 타고 가기로 했습니다.(몰래 바꾸려다 실패...ㅠ.ㅠ)

8월에 비가 많이 오고 슬럼프와 우울증에 시달려서 막판 마무리 운동을 못해서 총정리 문제집을 못풀고 시험보러가는 기분입니다만... 온가족 모두 정상에서 목놓아 응원하라고 조치해 놓았으니 좋은 결과 있을거라고 기대해봅니다. 놀라운 것은 남,여,어린이 등등해서 참가인원이 무려 2천400여명....^^

목표를,

1. 1등
2. 3등이내 들어가서 입상
3. 60분이내 기록
4. 완주

다양하게 잡아놓으니 아주 마음이 편합니다.^^   



About this entry


Tour de France























악마옷을 입은 이 사람은 투어때마다 이 복장을 하고 응원을 합니다. 스폰서도 있다고...







주먹질(?) 당하는 흰색 옷 입은 사람은 최고의 영라이더(흰색져지는 최고의 영라이더에게), 그 뒤에 노란색 져지입은 사람은 현재 1등인사람, 그 외에 빨간색 땡땡이 져지는 최고로 산에 잘 올라가는 사람이 입습니다. 물론 순위가 바뀌면 져지를 빼앗깁니다.




스트리킹은 몸이 평범한 사람이 해야 제맛인데^^




뚜르 드 프랑스가 한창입니다. TdF는 1903년에 무슨 신문사가 광고를 위해 시작한 자전거 경주로 프랑스 전역을 21개의 스테이지로 나누어 각 스테이지마다 우승자를 가리고 시간차로 전체 우승을 가리는 대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찬밥 스포츠지만 유럽에서는 상당한 팬들을 보유한 인기 대회랍니다. 얼마전 랜스 암스트롱이라는 미국선수가 고환암을 이기고 7연패를 달성해서 화제가 되었죠.(나이키 광고에도 나오고...)

전체 거리가 3000에서 4000km 사이들 달리는데 각 스테이지는 평지도 있고 엄청난 산을 여러개 넘는(알프스도 넘고 피레네 산맥도 넘습니다) 산악 스테이지도 있고 짧은 구간을 누가 빨리 달리나를 겨루는 타임트라이얼도 있습니다. 이 대회는 개인이 우열을 다투는게 아니고 한팀에 8명의 선수가 자신의 에이스를 우승시키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세웁니다. 물통이나 음식을 날라주기도 하고 바람막이도 해주고 길도 터주고... 에이스는 이들의 뒤를 졸졸 따라다니다 결정적인 순간에 튀어나가 골인을 하는데 세상사가 다 그렇듯이 뜻대로 안되고 떼거지로 넘어져 수십명이 아수라장이 되기도 하고 중간 먼저 튀어나가는 선수들도 있고(break away group) 떼거지로 서로 의지해서 공지저항을 나눠서 체력을 비축하는 그룹(펠로톤)도 있습니다. 마치 정주형 타입과 유목형 타입과 비슷하기도 합니다. 어느쪽이던 치열한 두뇌싸움과 막강한 체력이 있어서 우승할 수 있고 이런 스테이지 우승이(하나의 스테이지가 대충 서울-속초정도는 우습게 갑니다.) 모여서 전체 우승이 결정되는 거지요.

혹시나 신문 스포츠란에 떼거지로 자전거타는 사진나오면 재미있게 보시라고...^^


About this entry



<< Previous : [1]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Next >>

Calendar

<<   2025/09   >>
S M T W T F 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