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그룹 단체전



2012, 1. 11 ~ 17

인사동 경인미술관



임성식(Lim Sung-shick)

경희의대 졸업, 내과 전문의

인성의원 원장

2000년 : 첫 근무지 삼척에서 풍경과 들꽃을 찍기 시작

2005년 : 역삼동 Bwclub 암실에서 흑백필름 작업시작

2007년 : 서울 목동에서 강화로 자전거 출퇴근 하면서 주변 풍경을 찍기 시작 - 갓길인생 프로젝트

인천시 강화읍 남산리 37-3 인성의원

032-932-4455

freesolo.info@gmail.com

http://freesolo.info

http://facebook.com/freesolo.Lim

@freesolo_info


작업 노트


2007년, 중년에 찾아온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자전거로 출퇴근을 시작했습니다. 김포에서 강화까지 왕복90km 꽤나 거리였지만, 운동도 하고 환경에도 기여한다는 자부심으로 열성적인 자출족이 되었습니다.


지만 가냘픈 자전거로 일반도로를 주행해보니 속도에 밀리고 규모에 치여 갓길로, 갓길로 밀려나고 말았습니다. 좋게 태어나 주류에서 벗어나지 않고 살아온 것을 능력인양 으스대며 지내다가 처음 갓길로 밀려난 거지요. 속도와 효율에 밀려 인도도 없는 도로를 아슬아슬하게 걸어가야 하는 사람들이 비로소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무자비한 이기심에 힘없이 죽어가는 생명들에 눈을 맞추기 시작했습니다

신도시 공사 때문에 멀쩡하게 있던 늠름한 나무들이 베여 넘어가고, 아라뱃길을 만든다고 굴포천 가에 무성하던 버드나무들이 하루아침에 뿌리째 뽑혀나가는 장면을 속절없이 바라봐야만 했습니다. 어느 봄날에는, 매일 지나던 길옆에 쓰러진 벚나무 그루 앞에서 자전거를 멈추고 한동안 먹먹하게 있기도 했습니다. 잘라진 밑동 일부가 뿌리에 붙어 있어 죽지 않고 있다가, 마지막 힘을 모아 그렇게 가득 꽃을 피운 것입니다.


이 사진들은 우리의 잘난 문명이 저지르는 범죄현장에 대한 힘없는 기록입니다.




About this entry


파꽃













































파꽃
 
              김지헌
 
 
소박맞은 새색시
절망 절망
언덕을 넘어오는
서러움이다

엷은 베일로 가리고서
삼백예순날
매운 눈물만 뿌려대는
아득함이다.


ps : 파꽃의 꽃말은 인내.

참 특이한 꽃이에요. 사람이 보기 좋으라고 꽃을 피우는 건 아니니까 벌하고 나비만 꼬이면 되겠지만요.^^ 파꽃이 피는 모양을 두상화서(頭狀花序)라고 하는데 꽃대가 없이 꽃이삭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꽃이 모여서, 그 모양이 머리 모양을 이루어 한 송이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자세히 보면 암술과 수술이 함께 모여있다네요. 다음에는 무심하게 지나치지 말고 자세히 들여다 봐야겠어요.


문득 파꽃의 향기가 어떤지 궁금해졌어요.^^


About this entry


생명은...












































































김포 누산리, 2009. 4, gelatin silver printing



작년 봄 벚꽃이 흐드러지게 필무렵.
평소에는 잘 다니지 않던 김포 누산리 샛길로 페달을 밟았습니다.
안개가 자욱한 날이었는데 가뜩이나 바쁜 아침에 그쪽으로 왜 갔는지는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아마 뭐에 홀렸던거 같은데...

길옆에는 얼마전 베어진 나무가 한그루 쓰러져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눈이 어두운 저로서는 무슨 나무인줄 몰랐습니다.
길옆 좁은 텃밭에 나무 그늘이 거슬렸던지 밑둥을 삭둑 톱질을 했는데....
아뿔사! 껍질 일부분이 아직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었던 겁니다.

밑둥이 거의 잘려진 나무는 마지막 온힘을 모아 꽃을 한가득 피워올렸습니다.
자신의 죽을지 아는지 모르는지
죽음을 앞둔 나무가 가득 피워올린 풍경앞에서 한동안 먹먹하게 서있었습니다.

생명이란...
이다지도 무모한지
어떤 틈에서도 어떤 핍박에서도
끝까지 부여잡고 움켜쥐는 저 절박함....


슬프고도 청승맞은 강허달림의 노래가 흘러갔습니다.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고나서 참 슬펐어요. 생명체란 유전자가 자신을 증식하여 퍼뜨리기 위한 포장재에 불과하다. 그저 맹목적으로 교미하고 수태하고 태어나고 기르고 죽어간다. 어찌보면 냉냉한 진실인데 어쩌면 항상 진실이란 이다지고 팍팍하고 황량한지요. 그래도 어쩌겠습니까? 그게 싫다고 거짓 희망을 만들어 살아가는 건 더 비참해지니까요.

묵묵히 굴종하며 살지만 작은 틈을 비집고 나와 결국에는 큰 바위가 갈라지는 것도 생명이니까요.


막막한 어둠 속 별빛들 한없이 바라다보며
목 놓아 갈망하기도 하고
사무치게 그리워 하기도 하고
알 수 없는 이유들로 가득 찬 불안한 눈빛에
누구의 손길도 마음도 쉽지 않았을 테지

참 무모해 무모하다 못해 절박하지
제대로 산다는 건
일어나 일어나 천천히 일어나
나 살아 숨 쉰다고

꿈틀거리던 하얀 자국 선홍빛 기억 또렷이 남아
스스로를 옭아매고
또 누군가에겐 상처를 주고
채울 수 없이 멀어져 간 끝 모를 사랑도
가슴 속 바다 한 가득
아련함이었을까

참 무모해 무모하다 못해 절박하지
제대로 산다는 건
일어나 일어나 천천히 일어나
나 살아 숨 쉰다고

한 없이 아늑한 바람의 소리
흔들림 없는 꿈의 소리
작은 숨결에 몸사위에
세상은 소통을 하지
손 내밀고
감싸 안고
전해오는 체온들

아직 희망은 있고
모두 사랑이었으니

(강허달림, 옛일기장)












About this entry



<< Previous : [1] : [2] : [3] : [4] : [5] : [6] : .. [9] : Next >>

Calendar

<<   2025/08   >>
S M T W T F 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