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장

은평구 불광동에서 국민학교를 다닐 때 살던 집이 작은 정원이 있어서 탁구대가 있었습니다. 그때 같이 살던 외삼촌, 이모, 동생이 탁구 상대였습니다. 기억이라곤 얍삽한 서브 기술하나 개발하면 족히 몇주는 잘 써먹었던 거하고 얄미운 커트에 라켓을 대기만 하면 이상한 곳으로 공이 튀어 나가거나 네트에 걸려서 울화가 치밀었던 뿐입니다. 물론 이러다가 한살아래 동생하고 드잡이하면서 싸우곤 했습니다. 그때나 이제나 제가 운동신경하고는 거리가 멀어서 맨날 졌는데 승부욕은 강했거든요.

중학교때 탁구부가 생겼는데 탁구대는 고작 4대. 엄청난 지원인파에 성적순으로 짤랐는데 기적적으로 그때 제가 뽑혀서 일년동안 탁구대앞에서 잘 놀았는데 뭐 레슨이나 이런거 받아본적은 없습니다. 그리고 나서는 탁구하고는 별 인연이 없었고 몇년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유승민 선수가 강화출신이란거 정도? (이게 무슨 인연이라고....) 운동장이 꼬딱지만한 재관이가 학교에서 체육시간에 탁구를 치는데 워낙 운동광인 이녀석이 축구, 농구에 이어서 탁구에 바록 꽂히고 말았습니다. 가끔 동네 탁구장에 가서 예전의 얍삽한 써브 몇개와 가끔 들어가는 드라이브로 매번 시합에서 묵사발을 만들어 주곤핬습니다.(초딩 6학년한테 농구 1:1을 지고나서 한동안 울화속에 밤못들었던 밤을 생각하면 이 어찌 쾌거가 아닐런지요?) 한데 이녀석이 점점 실력이 늘더니 이제는 가끔 듀스까지 가다가 제가 지는 사태까지 발생.

실력으로 밀릴 때는 역시 장비빨 아니겠습니까? 바로 탁구용품 검색에 들었갔습니다. 고슴도치 탁구클럽에(http://cafe.daum.net/hhtabletennis) 들어가니 엄청난 정보에 놀랐습니다. 예전에 탁구칠 때는 그저 라켓을 머리카락에 쓱 문질러서 안미끄러지면 최고였는데 이쪽도 자세히 알아보니 그 다양함이 정말 놀랍더군요. 펜홀더도 중국식, 일본식이 따로 있고 쉐이크핸드는 그 종류가 너무 많아서 머리가 핑핑 돌 지경이었습니다. 게다가 그 다양한 러버의 종류까지 생각하면 가능한 조합은 무궁무진....  저는 일본식 펜홀더니까 별로 고민 안하고 다들 추천하는 XIOM에서 나온 프로라이트 플러스에 러버는 베가 아시아, 재관이는 저렴한 챔피온에서 나온 프로 오프 블레이드에 러버는 헥사+칸 으로 정했습니다. 블레이드에 러버를 붙여서 학교에 가져간 재관이가 바로 서열 2위로 뛰어올랐다고 입이 찢어져서 왔습니다.(역시나 도토리 싸움에는 장비빨!) 


오매불망 재관이는 아빠랑 탁구장가는 즐거움에 빠져있어서 틈만나면 탁구장에 가자고 조르는데 얼마전에는 마라톤 연습하느라고 장장 22km를 뛰고 돌아와서도 탁구장에 가서 두시간이나 탁구를 쳐준적도 있었습니다.(애비 노릇 쉽지 않습니다.^^)  엊그제에는 중간고사가 끝났다고 친구들은 노래방이나 피씨방으로 갔는데 재관이는 저랑 탁구를 치겠다고 부랴부랴 집으로 달려왔더군요. 그래서 이번에는 좀 특이하게 좀 멀리있는 "짱탁구장"이라는 곳을 소개받아갔습니다.


이 탁구장은 그 규모가 거의 축구장 수준이었습니다. 넓은 탁구장에 레슨실도 따로 있고 제일 맘에 든 건 로봇 연습기가 4대나 있어서 회원이 아니더라도 요금만 내면 쓸 수 있다는 거였습니다. 동네 탁구장에서 로봇 연습기를 사용해 보려다가 '회원'만 쓸수 있다고 해서 기죽었던 적이 있었거든요.


















재관이가 필살 무기를 위한 원포인트 레슨을 받는 동안 저는 로봇하고 열심히 연습을 했는데 이게 참 좋은 게 제가 잘못쳐도 미안해 하지 않아도 되니까 너무 좋더군요. 레슨 받은 재관이가 용기 백배 달려들었으나 가볍게 5:1로 제압.



About this e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