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의 의미

'고전'은 영어로는 classic 인데 라틴어 '클라시쿠스(classicus)'에서 유래했는데 이 말은 형용사이며 처음부터 '고전적'이라는 의미가 있었던 건 아니다. '클라시쿠스'는 사실 '함대'라는 의미를 가진 '클라시스(classis)'라는 명사에서 파생된 형용사이다. '클라시쿠스'라는 형용사는 로마가 국가적 위기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국가를 위해 군함을, 그것도 한 척이 아니라 함대를 기부할 수 있는 부호를 뚯하는 말로, 국가에 도움을 주는 사람을 가리켰다.

덧붙여 국가가 위기에 직면했을 때, 자기 자식-자식은 '프롤레스(proles)'라고 한다-밖에는 내놓을 게 없는 사람, 국가에 헌상할 것이라곤 프롤레스뿐인 사람을 '프롤레타리우스(proletarius)'라고 불렀다. (중략)  오늘날 '클라시쿠스'는 '고전적', '프롤레타리아'는 '노동계급'을 의미하는 말이 되어 이 두 단어가 아무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옛 로마 문화에서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 단어였으며, 생각해 보면 '프롤레타이우스'라는 형용사는 서글픔이 깃든 말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국가적 위기에 함대를 기부할 수 있는 상황을 인간의 심리적 차원에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인간은 언제든 위기를 맞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인생의 위기에 당면했을 때, 정신적인 힘을 주는 책이나 작품을 가리켜 '클래식'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단테 신곡 강의 : 이마미치 도모노부)


About this e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