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벅 Junebug (2005)
필 모리슨 Phil Morrison
주연
엠베스 데이비츠....매들린
Embeth Davidtz....Madeleine
에이미 애덤스....애슐리 존스틴
Amy Adams....Ashley Johnsten
알레산드로 니볼라....조지 존스틴
Alessandro Nivola....George Johnsten
스코트 윌슨....유진 존스틴
Scott Wilson....Eugene Johnsten
실리아 웨스턴....페그 존스틴
Celia Weston....Peg Johnsten
벤자민 맥켄지....조니 존스틴
Benjamin McKenzie....Johnny Johnsten
프랭크 호이트 테일러....데이빗 와크
Frank Hoyt Taylor....David Wark
시카고에서 아웃사이더 아트(정신질환자들의 순수한 그림 또는 미술교육을 받지 않은 화가들의 그림) 딜러로 일하는 매들린은 노스 캐롤라이나 촌구석 출신인 조지를 만나 결혼 합니다. 매들린은 남편식구들을 한번도 만나보지 못했는데 마침 남편의 고향 근처에 있는 화가를 만나러 갈 일이 생깁니다. 화가를 만나 계약을 진행시키면서 시댁에 머무르게 되는데 처음 만난 시댁식구들이 장난이 아닙니다.
임신한 올케 애슐리 - 우리식으로 보면 완전히 푼수에 주책바가지인데 너무나 천진난만하고 사랑스럽습니다. 정말 대단한 연기력입니다. 저는 진짜 임신한 배우인줄 알았다니까요.
시동생 조니 - 삐뚤어진 열등감으로 똘똘 뭉친 벽창호. 도무지 생각이라는 능력이 있는 지 의심스럽습니다.
골초 시어머니 페그 - 시종일관 툴툴대며 세련된 도회지 며느리가 맘에 들지 않습니다. 남편은 완전 무시.
말없는 시아버지 유진 - 섬세하고 배려심 깊지만 쉽게 표현하지 못하는 시골 노인.
여기까지 보면 도회지 며느리를 맞이한 시골 가족이 벌이는 좌충우돌 코메디를 생각할 수 있지만 그건 너무 뻔하지요. 하지만 필 모리슨 감독은 그런 뻔한 이야기를 그리는 게 아니라 이들의 충돌과 소통의 부재를 담담히 그려냅니다. 그 담담함의 정도가 마치 현미경으로 사람 사이의 신호를 잡아내는 것 같은 생각이듭니다. 어떤 평자는 '사람들 사이의 공기'를 찍고 있다고 말하더군요.
또한 가족은 결국 소통할 수 있고 거기서 사랑을 느낄 수 있다고 헛된 위로를 주지 않습니다. 오히려 끝까지 소통하지 못하는 모습을 그리면서 아주 작은 실마리만 보여줍니다. 영화를 보는 내내 언젠가는 클라이막스가 있거나 무슨 전환이 있을 거라는 기대를 하면서 보게 되는데(본능적으로...^^) 그저 담담한 화면만 나올 뿐이지요. 하지만 곱씹어 보면 가장 친밀한 관계인 가족에 대해 냉정하지만 밑바탕에는 따뜻한 시선을 깔고 그려내고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 (중간에 나오는 아무 의미없는 장면같은 것도 모두 의미가 있습니다.)
제일 가깝지만(혹은 그렇다고 착각하지만) 바로 그래서 가장 큰 고민거리인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는군요. 가족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험하고 거친 세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을 포근하게 감싸주는 안식처? 유전자의 대물림을 위한 계약 관계? 자본의 확대, 재생산 및 계승을 위한 장치?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벌어지는 폭력을 생각해 보면 오히려 외롭게 힘들어도 결국엔 인간이 혼자서 묵묵히 생을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p.s : 끝까지 영화 제목이 왜 JuneBug인지 이해를 못했는데 제작노트를 보니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더군요.
준벅(JuneBug) : "6월의 벌레", "풍뎅이"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준벅"은 한 차례 왔다가 떠나가는 메들린 부부의 존재를 뜻한다. 칵테일 이름으로도 유명한 "준벅"은 여름 초록의 상쾌한 색감과 달콤한 향기가 매력적인 칵테일로 젊은 여성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외국에서는 사랑스러운 연인, Cool Girl의 의미로도 통하며 젊은 여성만큼이나 상쾌한 칵테일로 이름나있다.


Trackback :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