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바웃 슈미트 About Schmidt 2002

감독
알렉산더 페인 Alexander Payne

주연
잭 니콜슨....워렌 슈미트
Jack Nicholson....Warren Schmidt
호프 데이비스....지니 슈미트
Hope Davis....Jeannie Schmidt
더못 멀로니....랜들 허첼
Dermot Mulroney....Randall Hertzel
캐시 베이츠....로버타 허첼
Kathy Bates....Roberta Hertzel
준 스큅....헬렌 슈미트
June Squibb....Helen Schmidt
하워드 헤스먼....래리 허첼
Howard Hesseman....Larry Hertzel
해리 그로너....존
Harry Groener....John
코니 레이....비키 러스크
Connie Ray....Vicki Rusk
렌 카리우....레이 니콜스
Len Cariou....Ray Nichols
마크 벤휘젠....덩컨 허첼
Mark Venhuizen....Duncan Hertzel
셰릴 하마다....손드라
Cheryl Hamada....Saundra


보험회사에서 일생을 바친 워렌 슈미트는 66세에 은퇴를 하게됩니다. 겉으로나마 그럴듯한 퇴임 파티도 하고 명실공히 백수의 생활에 접어들었는데 덜컥 아내 헬렌이 죽고 맙니다. 둘이서 오손도손 여행이나 다니자고 멋진 캠핑카까지 샀는데 말이죠.(차가 거의 버스 크기더군요.) 눈에 넣어도 안아플 외동딸 제니는 맘에 안드는 놈팽이하고 결혼한다고 날까지 잡아놨는데 막상 아내까지 떠나고 나니 사위가 더 싫어집니다. 하루하루를 완전 폐인이 되어 지내던 워렌은 캠핑카를 타고 외동딸이 있는 곳으로 가서 결혼식을 도와주겠다는 핑계로 빈대를 붙으려다 이마저 매몰차게 거절당하고 묻지마 여행을 떠납니다. 그나마 그에게는 22달러를 기부하는 탄자니아의 양자 엔두구가 있어 진솔한 마음을 편지로 전합니다.(가족이나 친구보다 더 진실한 마음을 표현하더군요. 너무나 멀리 있어서 부담이 없었을까요?)

감독은 슈미트의 무미건조하고 너무나 외로운 삶을 담담히 그려냅니다. 끝까지 헛된 희망으로 위로하지 않기 때문에 영화에 힘이 있습니다. 형식은 코미디지만 웃음보다는 구질구질한 일상을 보여주는데 미국 중산층의 삶도 우리네하고 그리 다르지 않습니다. 예비 사돈으로 나오는 캐시 베이츠의 뻔뻔하고도 마구 들이대는 연기가 볼만합니다. (처음 보는 사돈한테 자신의 섹스 라이프도 거침없이 나오고 같은 욕조에서 목욕을 하겠다고 나서고....^^)

인간의 근대화와 도시화는 인간 이전부터 지속되어 오던 가족공동체와 마을 공동체를 해체하였는데(서양은 산업혁명이후 우리는 박정희 정권의 새마을 운동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겠죠?) 막상 해체는 시켰으나 각자는 어떻게 살아가야할지는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성공적으로 은퇴에 성공한 중산층 슈미트씨도 막막하기는 마찬가지인거죠. 우리는 흔히 은퇴후에 10억이 필요하다 어쩌고 하지만 돈만 있으면 성공적으로 노년을 보낼 수 가 있을지는 의문입니다.(물론 돈마저 없다고 너무나 끔찍하군요.ㅠ.ㅠ)

영화를 보면서 얼마전에 나온 통계가 떠올랐습니다. 남자 노인는 할머니가 먼저 죽으면 얼마 못살고 할머니들은 남편이 먼저 죽어야 더 오래 산다는.....^^   다행스럽게도 여자의 평균수명이 7년정도 더 길어서 대부분 할아버지들이 먼저 떠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참으로 봐주기 힘들지요. 늙으면 늙을 수록 더 외롭고 더 많이 아프다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니 어떻게 기나긴 노년을 보낼지는 참으로 크나큰 숙제가 되는군요.(현대의학의 대책없는 수명연장에는 분명 문제가 많죠?)

영화를 보고 나니 슈미트씨하고 별로 다른 처지가 아닌 저로서는 정신이 번쩍 들더군요.(와이프가 없으면 바로 폐인모드로 돌변하는....) 그래서 저보다 와이프를 오래 살게 하기 위해서 혼신의 노력을 하기로 결심했습니다.^^  보약도 먹이고 적당히 운동도 시키고 정기 건강검진도 철저히 해야되겠습니다. 덜컥 교통사고로 갈 수도 있으니 왠만하면 운전도 혼자 시키지 말아야 되겠군요.^^



About this entry